작성일 2015-04-21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은 4월 16일은 서울시청 광장에만 수만여 명의 시민이 모이는 등 희생자를 추모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온 나라 곳곳에 울려 퍼졌다.
참사가 일어난 지 1년이 지났지만, 9명의 실종자는 아직도 찾지 못하고 있고, 세월호는 바다속에 잠겨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1년이 지나서야 선체 인양을 하겠다고 밝히고 나오면서, 그동안의 무대책을 드러내기도 했다. 무엇보다 따뜻하게 감싸야 할 유가족들에게 전경차 차벽과 최루액, 물대포로 무시해 버렸다.
세월호 참사 발생 1주년이 되어오는 동안 일부에서는 “이제 가슴에 묻어야 한다. 인양을 하기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며 유가족들에게 이제는 끝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는 등 망언을 내놓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를 지켜보며 대한민국의 안전대책 부재를 해결해 앞으로는 이 같은 일이 두 번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누구나 얘기 했지만, 과거의 대형참사처럼 한차례 추모 쇼를 하고는 사라져갔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은 자신들의 자녀와 가족들의 희생에 대한 아픔도 아픔이지만, 대한민국이 안전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온 국민의 목소리에 지금까지도 정부와 정치권을 향해 싸워왔다.
정부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유가족과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왔다면, 4월 16일 경찰 차벽과 최류액, 물대포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안전한 사회 건설을 위한 세월호 해법의 시작은 정부시행령의 폐기에서부터 시작 되어야 할 것이다. 유가족들은 처음부터 지금까지도 진상규명을 원했다. 하지만, 정부와 정치권은 피해에 대한 배·보상부터 거론하면서 진실을 돈으로 덮으려는 것인가 하는 우려도 받았다.
유가족들이 1년전 대통령을 향해 눈물을 흘리며 무릎 꿇고 애원하던 모습에서 나아진 것은 없다. 세월호 참사는 1년 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것이 없다
.
세월호 참사 진실 규명만이 안전한 우리 사회를 만들어가는데 첫 시작이 될 수 있기에 지금의 시행령은 문구 몇 개, 눈가림식의 수정으로는 다가갈 수 없을 것이다.
각종 대형 참사를 겪어오며 탄식을 쏟아냈지만, 지금도 우리는 불안에 떨며 살아야 한다. 세월호 참사 진실규명으로 이제 그 불안을 털어내고 안전한 사회로 가는 길을 열어보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